전자회로

전자회로 3/3 두번째 수업

공부승식 2021. 3. 3. 22:27
728x90

오늘은 전자회로 두번째 수업이 있었다. 

근본적인 내용을 알려주셨는데 앞으로 신호와 증폭기에 대해서 배운다고 했다.

이산시간 시스템에서는 한 지점이 0에 수렴하지만 일정 구역에 대한 밀도로 주파수의 크기를 표현할 수 있다. 금가루를 바닥에 흩뿌리는 비유를 통해 표현했다. 

그리고 전자회로에 기본이라고 할 수 있는 증폭기에 대해 배운다고도 했다. 

첫째로 신호는 정보를 가지고있는 물리적인양(전압, 전류)의 시간적 변화이다. 

신호 처리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로 하는데 디지털은 숫자로 딱 표현되는 값이고 아날로그는 일정숫자로 나타낼 수 없다고 한다.(통신이론 오티때 배움) 

신호원은 (트랜즈듀서) 테브닌 또는 노턴으로 무조건 나타낼 수 있다.  교수님이 하신 말씀으로는 테브닌(전압원과 저항)과 노턴(전류원과 저항)이 무조건 같은 출력을 내는 것은 아니라고한다. 계산상에서는 같은데 인덕터, 캐패시터같은게 들어가면 달라질 수도 있다고 한다.

 

-신호 심볼 표현법에 대해서도 배웠다. 공식적인 표현은 아닌데 , ic(c는 아래첨자)는 순수 교류 성분(물결치는것)이고 IC는 순수 직류 성분을 나타낸다(대문자 소문자인게 중요하다. I나 c는 예시인것) iC는 직류 성분과 교류 성분이 혼합되어있는 전류를 나타낸다.

Ic는 교류성분의 진폭을 나타낸다. 

 

-신호의 주파수 분포는

푸리에 급수와 푸리에 변환으로 설명된다고 한다. 자세한 설명은 해주시지 않았다. 디테일한 설명과 함께 들어야겠다.

'전자회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전자회로 3월 9일 3번째 수업  (0) 2021.03.09